1. 업데이트 다음에

문제

모눈종이에 다각형을 그리려고 한다. 그리는 방법은 모양수열로 표시된다. 모양수열은 1과 4사이의 숫자가 연속되어 나열된 것으로 1은 오른쪽으로, 2는 위쪽으로, 3은 왼쪽으로, 4는 아래쪽으로 한 칸씩 그리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의 다각형 (2)는 점 A에서 시작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모양수열 1411433322를 따라서 그린 것이다. 다각형 (3)은 점 B에서 시작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모양수열 3221411433을 따라서 그린 것이다. 또한 다각형(4)는 점 C에서 시작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모양수열 4411123323을 따라서 그린 것이다. 다각형 (2), (3), (4)는 다각형 (1)과 같으므로 모양수열들 1411433322, 3221411433, 4411123323은 모두 같은 다각형을 그릴 수 있다. 단, 다각형이 회전된 것이나 뒤집어진 것은 같은 다각형이 아니다. 그러므로 아래 그림의 다각형 (5)와 (6)은 다각형 (1)과 다르다.

한 개의 표본 모양수열과 여러 모양수열들이 주어졌을 때 표본 모양수열과 같은 다각형을 그릴 수 있는 모양수열들을 모두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표본 모양수열의 길이(숫자의 개수)가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표본 모양수열이 주어진다. 셋째 줄에는 모양수열의 개수가 주어지고 넷째 줄부터는 각 줄에 표본 모양수열과 같은 길이의 모양수열이 하나씩 주어진다. 단, 모양수열들의 개수는 최대 100 개이고 모양수열의 길이는 최대 50 이다. 모양수열의 각 숫자 사이에는 빈칸이 하나 있다.

출력

첫째 줄에는 입력된 표본 모양수열과 같은 다각형을 그리는 모양수열들의 개수를 출력한다. 둘째 줄부터는 각 줄에 표본 모양수열과 같은 다각형을 그릴 수 있는 모양수열을 출력한다. 출력되는 모양수열의 숫자들은 한 칸 띄고 출력한다.


1. A + B > C

2. A + B + C == N

3. B <= C

문제

같은 길이의 성냥개비가 여러 개 주어져 있다. 이것들을 평면에 늘어놓아서 삼각형을 만들려고 한다. 삼각형의 한 변은 여러 개의 성냥개비를 직선으로 이어서 만들 수 있지만, 성냥개비를 꺾거나 잘라서 변의 한 부분을 만들 수 는 없다. 성냥개비의 개수가 주어졌을 때, 이들 성냥개비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든 서로 다른 삼각형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서 9개의 성냥개비로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삼각형은 그림 1과 같이 3가지이다.

<주의사항>

  1. 주어진 성냥개비는 모두 사용하여 하나의 삼각형을 만들어야 한다.
  2. 삼각형을 한 개도 만들 수 없으면 0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서, 주어진 성냥개비의 수가 1, 2, 또는 4인 경우에는 삼각형을 한 개도 만들 수 없다.
  3. 합동인 삼각형들은 같은 삼각형으로 본다. 예를 들어서 성냥개비 5개를 사용하여 만들수 있는 그림 2의 삼각형들은 같은 삼각형으로 본다.

입력

첫째 줄에 성냥개비의 개수가 주어진다. 성냥개비의 개수는 1 이상 50,000 이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개수를 출력한다.


1. 중앙값을 구하면 되는 문제

2. 산술평균과는 다르다.

3. 입력받은 수가 홀수면 가운데를 사용

4. 짝수면 가운데중에 앞에거 사용

5. Number 연산은 실수연산이 있으면 자동으로 정수들이 캐스팅 된다. 만약 정수끼리 계산한다면, 값은 무조건 정수

문제

정보초등학교의 연아는 여러 개의 자연수가 주어졌을 때, 이를 대표할 수 있는 대표 자연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어떤 자연수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면 대표 자연수로 적당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대표 자연수는 주어진 모든 자연수들에 대하여 그 차이를 계산하여 그 차이들 전체의 합을 최소로 하는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주어진 자연수들이 [4, 3, 2, 2, 9, 10]이라 하자. 이 때 대표 자연수는 3 혹은 4가 된다. 왜냐하면 (4와 3의 차이) + (3과 3의 차이) + (2와 3의 차이) + (2와 3의 차이) + (9와 3의 차이) + (10과 3의 차이) = 1+0+1+1+6+7 = 16이고, (4와 4의 차이) + (3과 4의 차이) + (2와 4의 차이) + (2와 4의 차이) + (9와 4의 차이) + (10과 4의 차이) = 0+1+2+2+5+6 = 16으로 같으며, 이 두 경우가 차이들의 합을 최소로 하기 때문이다. 비교를 위하여 평균값인 5의 경우를 생각하여 보면, (4와 5의 차이) + (3과 5의 차이) + (2와 5의 차이) + (2와 5의 차이) + (9와 5의 차이) + (10과 5의 차이) = 1+2+3+3+4+5 = 18로 위의 두 경우보다 차이들의 합이 더 커짐을 볼 수 있다.

연아를 도와서 위의 성질을 만족하는 대표 자연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자연수의 개수 N이 입력된다. N은 1 이상 20,000 이하이다. 둘째 줄에는 N개의 자연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입력되며, 이 수들은 모두 1 이상 10,000 이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대표 자연수를 출력한다. 대표 자연수가 두 개 이상일 경우 그 중 제일 작은 것을 출력한다.


1. 처음에 문제를 보고 정렬을 할까? 생각했다.

2. 정렬을 하면 K 나라의 메달수가 같은게 나오면 멈춰야 되나? (동점처리가 까다롭다.)

3. 굳이 정렬을 해야될필요가 없어보였다.

4. 그래서 그냥 O(N) 으로 풀었다.

5. 근데 한가지 의문인게 국가의 수를 왜 주는가?

6. 그래서 i 랑 c 가 다르면 틀리는 코드를 내니까 틀린다.

문제

올림픽은 참가에 의의가 있기에 공식적으로는 국가간 순위를 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국가가 얼마나 잘 하는지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비공식적으로는 국가간 순위를 정하고 있다. 두 나라가 각각 얻은 금, 은, 동메달 수가 주어지면, 보통 다음 규칙을 따라 어느 나라가 더 잘했는지 결정한다.

  1. 금메달 수가 더 많은 나라 
  2. 금메달 수가 같으면, 은메달 수가 더 많은 나라
  3. 금, 은메달 수가 모두 같으면, 동메달 수가 더 많은 나라 

각 국가는 1부터 N 사이의 정수로 표현된다. 한 국가의 등수는 (자신보다 더 잘한 나라 수) + 1로 정의된다. 만약 두 나라가 금, 은, 동메달 수가 모두 같다면 두 나라의 등수는 같다. 예를 들어, 1번 국가가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를 얻었고, 2번 국가와 3번 국가가 모두 은메달 1개를 얻었으며, 4번 국가는 메달을 얻지 못하였다면, 1번 국가가 1등, 2번 국가와 3번 국가가 공동 2등, 4번 국가가 4등이 된다. 이 경우 3등은 없다. 

각 국가의 금, 은, 동메달 정보를 입력받아서, 어느 국가가 몇 등을 했는지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의 첫 줄은 국가의 수 N(1 ≤ N ≤ 1,000)과 등수를 알고 싶은 국가 K(1 ≤ K ≤ N)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각 국가는 1부터 N 사이의 정수로 표현된다. 이후 N개의 각 줄에는 차례대로 각 국가를 나타내는 정수와 이 국가가 얻은 금, 은, 동메달의 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전체 메달 수의 총합은 1,000,000 이하이다.

출력

출력은 단 한 줄이며, 입력받은 국가 K의 등수를 하나의 정수로 출력한다. 등수는 반드시 문제에서 정의된 방식을 따라야 한다. 


1 1 1 1    모

1 1 1 0    도

1 1 0 0    개

1 0 0 0    걸

0 0 0 0    윷


1이 나올때마다 count에 --해줘서 character형 배열에서 뽑아 쓰는식으로 했다.

+ Recent posts